제3강 상처를 받을 때 나타나는 증상들
1.수동적인 성격
가. 슬픔
슬픔이나 분냄: 그 자체는 죄가 아님(분을 품되 죄를 짖지 아니하고) 이것은 하나님께 가지고 나아가면 슬픔이 희락이 된다. 품고 있으면 바알새블 즉 죄가 된다. 우리가 슬퍼하면 주님도 슬퍼 하심을 알아야 한다.
ㅇ.슬퍼할 때 슬퍼하지 않으면 숨어있기 때문에 엉뚱할 때 돌출된다.
ㅇ.초상집에 가서 울고 있는 사람들에게 천국간 사람앞에 왜 우느냐고 핀잔을 주는것도 상처가 될 수 있다.
주님은 대중 앞에서 우셨다.(요 11: 35)
나. 자기 연민
ㅇ.자기를 불쌍히 여김.(아이구 내 팔자야!) 아무도 인정해 주지 않는 구나.
ㅇ.사람은 누구나 이런 생각을 할 수 있다. 그러나 품지는 말아야 한다. 오히려 그것을 하나님께 드려라. 자기 연민이 내 안에 뿌리내리지 못하게 대적해야 한다.
ㅇ.주어진 상황에서 우리의 시각을 교회나 우리의 능력에서 하나님께로 돌려야 한다. 나는 왜 이럴까? 에서 하나님께서 나에게 무슨뜻이 있는가? 로 생각을 바꾸라.
다. 자기증오
그토록 오랜 신앙 생활을 했는데 나는 왜 이럴까? 나의 외모,성격,능력,두뇌,가문은 왜 이런가? 그러나 우리의 모든 것은 신묘 막측하다. 부족한 부분이 오히려 더 감사하다.
고전 1:26-31 아무 육체도 하나님 앞에 자랑치 못함. 부족함으로써 성령의 도움을 구하게 됨. 우리가 연약할 때 주님의 강함을 체험함.
라. 우울함: 우울은 중요한 것(사랑,돈,건강,젊음,자식 등)을 잊어버릴 때 올수 있다.
*.3가지 우울증 증상
ㄱ.에너지가 없음.
ㄴ.관심이 없음
ㄷ.이유 없이 울고 싶음
해결책
(ㄱ) 자신의 우울증상을 인정할것.(치유의 출발)
(ㄴ) 무엇을 잃었는지 그 대상을 잘 파악해야 함.
(ㄷ) 그 다음 그 잃어버린 것을 주님께 드려라.
(ㄹ) 주님이 주시는 사랑과 소망을 받아라.
잃어버린 자는 소망이 없다. 그러나 주 안에서는 모든 것이 있다.
우울증의 종류
(ㄱ) 신체적 우울증: 홀몬의 불균형 약이 필요함
(ㄴ) 정신적 우울증: 신앙의 불균형 주님께 간구
마. 무관심: 열정이 없는 삶, 될 대로 되라. 특히 목회에 열정이 없으면 지겹다.
바. 열등의식(비교의식):고후 10:12 자기로서 자기를 비교하니 지혜가 없도다. 비교는 어떤 형태로든 손해다.
즉 자기보다 못하면 교만, 그 반대면 열등의식.
사. 불안정감: 자신의 정체성을 갖지 못함. 치유되어 주안에서 정체성을 찾으면 담대하게 될수 있다.
아. 실패의식: 실패에 대해 몰입함.
“나는 실패자다: 라는 생각이 들 때 의욕을 잃는다. 이런사람은 새로운 일을 하기 싫어한다. (해 봤자 실패할 태니까) 그러나 사실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이다. 야구의 타율은 3할대면 훌륭한 타자이다.
자. 죄책감: 죄 사함을 머리로는 이해함. 그러나 가슴에 와 닿지는 않는다.
(예: 시집살이의 고난을 용서 했으나 잊어버릴 수는 없다. 하나님도 잊어버리는 것이 아니라 기억하지 않으신다. 그리고 마치 우리가 죄 짓지 아니한 것처럼 대하신다. 문제는 하나님께서 우리의 죄를 용서하셨는데도 내 자신이 용서 받을 가치가 없다고 생각하는데 있다.
히8:12 저희 불의를 긍휼히 여기시고 죄를 다시 기억치 아니하리라.
차. 죽고싶음: 자살의 영의 공격. 사는것이 지겹다.
카. 절망: 절망은 주님을 보지 않고 상황을 볼 때
(여호수아와 갈렙은 “저들은 우리들의 밥” 이라고 했다.)
타. 낙심:특히 부모에게 억압을 많이 받은 경우에 온다.
(골 3:21 아비들아 자녀들을 격노케 말찌니 낙심할까 함이라.)
파. 자살: 자신의 죽음을 상상함.
종합적인 결론
1. 수동적인 사람은 삐뚤어진 다림줄을 내리고 살고 있음.
2. 수동적인 사람의 상처의 저변에는 “불신”이 자리 잡고 있다.
3. 그림: 수동적인 나무의 가지부분: 가에서 파까지의 열매, 뿌리부분: 거절감,상처, 아픔이 뿌리가 사랑과 진리로 바뀌면 열매도 바뀜.
2.공격적인 성격
가. 적개심: 화를 잘냄. 칭찬을 받지 못함 비꼬는 줄로 생각하며 심지어 상처를 준다. 이런 사람은 결핍의 상처가 있다. 우리가 이것을 알면 그를 긍휼히 여길수 있다.
나. 자만심: 자신을 과장,뻥튀기, 다른 사람을 깔고 뭉갠다.(한이 많은 민족의 특성: 팔뚝 때리기, 꿀밤주기등)
다. 고상한척함: 가본 것처럼, 해본 것처럼마음이 공허할 때 과장이 심함.
라. 심한 감정의 굴곡: 내면의 상처, 공허로 인해 환경에 따라 감정이 격변함.
마. 심한 경쟁의식: 아이한테도 져줄 수 있는 여유가 없다. 이기지 않아도 될 부분에서 져줄 수 있는 여유를 발견하기위해서는 자신의 가치관을 그리스도안에 둘 때 가능할 수 있다.
바. 군림,지배적: 정서가 불안정한 사람이 더욱 그렇다. 강자에게는 약하고 약자에게는 강하다. 이런사람이 치유를 받으면 섬기는 사람으로 변화 된다.
사. 경직됨: 자기가 옳다고 생각되는 것이 절대임. 사소한 것이 중요하고 정말 중요한 것은 사소하게 생각함. 경직됨은 관계를 파괴 시킨다.
(예:치약 짜는 법 부부 싸움그러나 서로다른 성격이 만난다는 것은 축복이다.)
이런 사람이 치유되면 경직됨이 무너지고 유연해지고 중요한 것과 사소한 것을 구분하는 지혜가 생긴다.
아. 이용하려 함: 사람과 물질을 자신을 위해 간접적으로 이용하려 함. 치유되면 이용하려 든 사람을 사랑하고
그를 위해 손해를 보는 사람으로 바뀜.
자. 고집불통: 틀린줄 알면서 우긴다. 시인하기가 고통스럽다. 반대의 영으로 나아갈 때 주 안에서 굽힐 수 있다.
차. 안배우려고 함: 다른집회에 가지 말라는 목사의 내면에는 이것이 있다.
카. 원망,쓴뿌리: 모든일에 다른 사람을 탓하고 용서를 할줄 모른다.
타. 망상: 현실을 인식 못하고 영적으로 미혹됨.
파. 비판적: 내눈의 들보를 보지 못하고 남의 눈에 티를 봄. 치유받으면 자신의 허물을 용서해 주는 주님의 은혜를 체험하여 다른 사람의 허물을 덮어주는 사람으로 변화 됨.
하. 조종하려 함: 하나님 앞에 좀더 잘 하려고 위임을 하지 못함. 그러나 그 순간은 미숙하나 장기적 안목으로는 더 잘할 수 있음.
가. 강한 소유욕: 내 교회, 내것, 강박감, 폐쇄적인 사람. 이런 사람은 하나님의 뜻을 따르는 사람이 아니라 내 뜻대로 하는 사람이다. 치유 받으면 소유에서 청지기로 변화됨(권리포기)
나. 살인: 궁극적 파괴 행동. 남을 죽이고 싶은 충동.
종합적인 결론
공격적인 사람의 상처의 저변에는 “교만”이 자리 잡고 있다.
그림: 공격적인 나무의 가지부분: 가에서 파까지의 열매, 뿌리부분: 거절감,상처, 아픔 이 뿌리가 사랑과 진리(사 61:3)로 바뀌면 성령의 9가지의 열매로 바뀜.
3. 네가지 타입의 유형
1. 유순한 크리스찬 인정받기 위해
도와 드릴께요 저를 봐 주세요 섬겨 드릴께요 섬기는 동기 제가 어떻지요 인정해 드릴께요 저를 필요로 해 주세요 충성 할께요
사울은 하나님보다 백성을 더 기쁘게 하려다가 왕권을 빼앗김. 이런 사람이 치유 되면 시선이 사람에게서 하나님께로 바뀜.
2. Can’t do it Christian
해 봤자 소용 없어, 내가 하는일은 언제나 실패야. 다른사람은 몰라도 나는 변할 수 없어! 내 말은 들어주지 않는 구나, 내게는 관심이 없구나 이런 사람이 치유를 받으면 예술적,민감한 협력자,조언자, 긍휼한 사람, 사랑을 베푸는 사람, 창의력이 풍성한 사람으로 바뀜(모세)
3. 경쟁적 Christian
나는 다 알아요, 나는 완벽해요, 나를 높혀주어야 해 나의 재능을 보라. 나는 틀림 없는 사람이야 과잉 활동, 위임을 못함, 이기주의, 충동적임. 이런 사람이 치유를 받으면 복음전도자, 즉흥적 지혜자, 생산적이며 지루하지 않고 보람이 있다. 열매를 많이 맺는다. (구약의 야곱)
*.넬슨 제독의 조직 분류법
1. 졸병: 게으르고 둔한 사람.
2. 참모: 부지런 하고 머리좋은 사람.
3. 지휘관: 게으르고 머리좋은 사람
4. 부지런 하고 머리 나쁜 사람: 조직을 망치는 사람.
4.비판적 Christian
나는 옳다, 내 말을 들어라, 내가 하는 것을 봐라당신은 항상 틀려, 저리 비켜, 내가 할꺼야과잉보호, 남을 비하시키고 결점을 찾으려 함.(가롯 유다)
치유 받으면, 담대하게 말씀을 전하며 예언자적 자세를 보여 준다. 즉 비판이 아니라 분별을 하며 입술에 파워가 생긴다.
'내적치유 > 내적치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스크랩] [전인 치유 사역 세미나] - 전인 치유 사역 (0) | 2009.01.23 |
---|---|
[스크랩] [내적 치유의 기본 원칙(4)]: 치유와 그 열쇠 - 크리스티 김 (0) | 2009.01.23 |
[스크랩] [내적 치유의 기본 원칙(2)] : 하나님의 다림줄 "사랑" - 크리스티 김 (0) | 2009.01.23 |
[스크랩] [내적 치유의 기본 원칙(1)] : 내적 치유가 필요한 사람들의 증상들 - 크리스티 김 (0) | 2009.01.23 |
[스크랩] 내적치유에서 역사적인 뿌리 (0) | 2009.01.17 |